더불어민주당 2
조국혁신당 10

학교시민교육 지원법안

(강경숙의원 등 12인)

2025-04-25 ~ 2025-05-09

2

법안 개요

이 법안은 학교에서 체계적인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통해 교육과정에 시민교육을 포함시키고,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교육부장관은 4년마다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지방 교육청이 연도별 계획을 시행하도록 하여 시민교육의 효과성을 높인다.

상세 내용

제안이유 「교육기본법」은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는 것을 교육이념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으며, 민주시민 육성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 또한 폭넓은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음. 하지만 지난 몇 년 사이에 교육부와 일부 교육청에서는 민주시민교육을 담당하는 부서를 폐지하는 등 시민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 학교에서조차 이러한 교육을 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미흡해 체계적인 민주시민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 한편 갈수록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여러 사회적인 문제 속에서 바람직한 시민 육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이에 민주시민 육성을 위한 교육이 학교에서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주요내용 가. 이 법은 학교에서 시민교육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민주시민으로서 자질을 갖춘 국민을 육성하여 국가와 사회의 민주적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안 제1조). 나.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학생의 발달 단계 및 단위 학교의 상황과 여건에 적합한 학교시민교육 진흥에 필요한 시책을 마련하고, 학교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필요한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하도록 함(안 제4조). 다. 학교시민교육은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서로 다른 입장이나 관점을 학교교육과정에서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다루어야 하며, 학생들이 사회문제 해결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로 실시되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함(안 제5조). 라. 학교시민교육은 민주주의의 기본원리 및 민주주의에서 추구하는 가치,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유와 의무, 권리와 책임, 민주주의의 운영 원리 등의 내용을 포함함(안 제6조). 마. 교육부장관은 학교시민교육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하여 학교시민교육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교시민교육 종합계획을 4년마다 수립하고, 교육감은 종합계획에 따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연도별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함(안 제7조 및 제8조). 바. 종합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학교시민교육의 정책 및 제도개선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하기 위하여 교육부장관 소속으로 학교시민교육위원회를 둠(안 제11조). 사. 교육부장관과 교육감은 학교 교육과정에 시민교육을 반영하고, 학교의 장은 연도별계획 및 교육대상의 연령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학교시민교육에 관한 교육계획을 수립하여 교육을 실시하도록 함(안 제12조).

광고